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[리눅스] 우분투 Git 설치 & 프로젝트 가져오기(Clone) [우분투에 Git 설치하고 Gitlab(Github)에서 소스 다운로드] [Git 설치하기] 1. git 설치 명령어 입력 sudo apt install git 계속 설치를 진행하냐고 물으면 엔터 ! 2. 사용자 정보 설정 github(gitlab)에서 사용하는 이름과 이메일을 입력한다.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[이름] git config --global user.mail [이메일]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름과 이메일이 잘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. git config --list 3. 설치 및 버전 확인 git --version [Gitlab(Github)에서 소스 가져오기] 1. 프로젝트 소스 폴더에 init 명령어 입력 git init 2. 가져올 프로젝트 주소를.. 더보기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DB - MySQL Workbench 연결 [ncloud 데이터베이스와 MySQL Workbench 연동 방법] 1. DB 사용자 권한 먼저 설정한다. DB Server > DB 관리 > DB User 관리 이동. 2. USER_ID, HOST(IP), 암호를 입력한 후, 'DB User 추가' 버튼 클릭 > 저장 클릭 • HOST(IP) : %(모든 경로) 3. DB Server 도메인을 확인한다. (Workbench에서 연동할때 필요하다.) 4. 포트를 설정하기 위해 ACG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. (ACG 옆에 버튼) 5. 프로토콜, ACG 설정. 접근 소스, 허용 포트를 입력하고 '추가'버튼 클릭 • 프로토콜 : TCP • 접근소스 : 편하게 테스트하기 위해 '%' or Workbench를 사용할 pc의 ip 주소 입력 • 허용 포트 : 3.. 더보기
[리눅스] 폴더 이동, 파일 이동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파일 및 폴더(디렉토리) 이동하는 방법 & 명령어 [폴더(디렉토리) 이동] mv [현재폴더경로] [이동경로] //'server' 폴더를 /home/에서 /home/src/로 이동 mv /home/server/home/src/server [파일 이동] mv [현재파일경로/파일이름] [이동경로] // /home/경로의 'index.html'파일을 /home/src/로 이동 mv /home/index.html /home/src 더보기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DB Server 생성하기 [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MySQL Server 생성하기] 1.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- 서비스 - Database - Cloud DB for MySQL - 이용 신청하기 클릭. 콘솔 창의 'DB Server 생성' 버튼 클릭 2. 서버 사양과 정보를 설정한다. - MySQL 버전, Zone, DB Server 타입, 스토리지 타입, DB Server 이름과 DB 서비스 이름을 입력한다. 3.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설정한다. • USER_ID : DB 관리자 용도로 사용할 유저명 - 유저명은 영어, 숫자, "_" 문자만 허용하며 영어로 시작해야 한다. • HOST(IP) : 접속할 Client IP - 전체 접속 허용 : % - 특정 IP 접속 허용 : 1.1.1.1 - IP 대역 접속 허용 : 1.1.. 더보기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버 생성하기 [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 우분투 서버 생성하기] 1.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- 서비스 - Compute - Server - 이용 신청하기 2. 서버 OS와 서버타입을 선택한다. - 50GB / OS / Ubuntu / Standard / Ubuntu 18.04 를 선택했다. 3. 서버 기본 정보를 설정한다. - 기본적인 스펙을 선택했다. 4. 서버 인증키를 설정한다. 인증키 이름을 입력해서 새 인증키를 발급받았다. 5.ACG(Access Control Group)을 설정한다. 우선 기본으로 있는 acg를 선택했다. - ACG는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, 관리하는 서비스다. 방화벽, 포트 등을 설정한다. 6. 서버 정보를 확인한 후, '서버 생성' 을 클릭한다. 7. 콘솔 - Products&Service.. 더보기
Windows 윈도우10에 OpenSSL 설치 윈도우10에 OpenSSL을 설치하는 방법 1. OpenSSL 다운로드 아래 링크에 접속해 OpenSSL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다. 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openssl/ OpenSSL Download OpenSSL for free. This project offers OpenSSL for Windows (static as well as shared). It supports: FIPS Object Module 1.2 and CAPI engine. sourceforge.net 압축파일을 적절한 위치에 압축해제해준다. 2. OpenSSL 환경변수 설정 [고급 시스템 설정] - [시스템 속성] - [고급] 화면에서 [환경 변수]를 클릭한다. 시스템 변수 [Path] 선택.. 더보기
mariadb(mysql) 버전 확인하기 mariadb (mysql) 버전 확인하는 방법 select version(); mysql workbench에서 실행했습니다. 터미널에서 입력해도 버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더보기
부팅 usb를 usb 메모리로 복구하기 [부팅 usb를 다시 usb 메모리로 되돌리기] 1.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다. (윈도우 키 -> cmd 입력 -> 명령 프롬프트 실행) 2. diskpart 를 입력한다. 3. 아래 명령어들을 차례로 입력한다. ▶ list disk - pc의 디스크 목록을 볼 수 있다. ▶ sel disk (usb디스크번호) - usb 메모리 번호를 입력해준다. 나의 경우는 1번이어서 sel disk 1 을 입력했다. ▶ clean ▶ create partition primary ▶ format quidk fs=ntfs ▶ active ▶ exit 더보기